-
홈 타운이 대학 입시에 미치는 영향카테고리 없음 2024. 9. 12. 08:20
2023년 소수집단 우대정책에 대한 대법원의 위헌 판결 이후, 대학들이 학생들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인종 대신 지리적 다양성을 입시에 중요한 요소로 사용할 것이라는 의견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립 대학교 vs. 사립 대학교
주립 대학의 지원금은 연방 정부(Federal Government)뿐만 아니라 주 정부(State Government)가 걷어들이는 주내 거주자들의 소득세에서도 비롯되기 때문에 주립 대학교들은 타주 혹은 국제 학생들의 비율보다 주내 학생들의 비율을 높이는 선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샌디에이고 주립대학교(SDSU)는 2024-2025학년도에 약 90,000여개의 신입생 지원서를 받았으며, 이 중 10%가 local 지역 학생이었지만, 6,500여명의 합격자중 33%, 즉 2000여명이 local 지역 출신입니다. 반면에 사립 학교의 경우 이러한 제약이 없고 학생들을 전국 각지에서 골고루 선별할 수 있습니다.
UT Austin(주립)과 Vanderbilt(사립)에서 공개한 통계입니다. UT Austin의 In-state 지원 합격률은 40%, Out-of-state 11% 그리고 International이 13%인 반면 Vanderbilt는 In-state 14%, Out-of-state 6%, International이 4%로 UT Austin만큼 차이가 극명하지 않고 Out-of-state과 International 지원자의 수가 In-state보다 월등히 높습니다. University of Notre Dame(사립)의 경우 Out-of-state 지원자의 합격률이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Common Data Set 2023 - 2024 from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Vanderbilt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Notre Dame 🎯 대도시 vs 소도시
Underrepresented(소도시) 지역 출신 학생들은 상위권 대학에 지원할 때 더 두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학생의 프로필이 비슷하다는 가정하에 농촌(rural) 지역 출신 학생이 하버드나 예일과 같은 아이비리그 대학에 지원할 경우, 뉴욕과 같은 대도시에서 지원하는 학생보다 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소도시에선 상위권 대학이나 아이비리그 학교에 진학하려는 비교대상이 되는 학생 수가 적어 경쟁이 상대적으로 덜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타당한 명분 없이 학군을 옮기는 선택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대도시에 살던 학생이 소도시에 있는 학교를 다닌다고해서 의미있는 활동을 꾸준히 하거나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지 장담할 수 없고 대학교에서 이러한 “꼼수”를 발견한다면 불리하게 작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 환경에서 입시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학생에게 알맞는 전략을 수립해야합니다.
실제 자료를 통해 자세히 들여다보면 학생이 살고 있는 지역의 가족당 소득의 중앙값(median family income), 범죄율, 대학 진학율, 무료급식을 받는 학생 비율 등 비학업적 요소(non-academic factor)가 다양하게 고려됩니다. 이러한 정보는 College Board에서 대학들에게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요소들이 수치적으로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대학들은 양적조사와 질적조사 둘 다 활용하고 있습니다.
Landscape Consistent high school and neighborhood information for colleges by College Board ✍️ 지원 전략
학생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따라 입시 확률에 차이가 생길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농촌 지역은 AP 과정의 부재와 제한적인 교외 활동 기회와 같은 요소가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단순히 거주하는 지역에 변화를 주는 선택보다 현재 상황과 환경에서 돋보일 수 있는 활동을 알맞게 선택하여 준비해야합니다. 따라서 현재 재학중인 학교와 거주중인 지역을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야합니다. 활동의 경우 아래 세 가지 질문에 “Yes”로 답하여 돋보일 수 있는 최소 조건을 만들 수 있습니다.
- 1년 이상 꾸준히 했나요?
- 영향력(community-level)있는 결과를 만들었나요?
-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를 상황 → 주어진 과제 → 해결 방법 → 결과의 순으로 타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