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해요소를 쉽게 이겨낼 수 있는 방법카테고리 없음 2023. 2. 13. 08:02
우리는 왜 방해를 받는가?
일상에서 수많은 방해요소 때문에 집중하지 못한다면 일 또는 공부의 효율은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절대 방해받지 않을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요? 인간을 가장 산만하게 만드는 것은 외부에서 유입되지 않고 바로 내부에서 시작됩니다. 쉽게 방해받는 이유를 찾는다면 ‘왜 방해를 받는가’ 대신 ‘왜 행동을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져야합니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있는 이유는 인간은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신경학적으로 접근하면 집중이 어려운 근본적 원인은 내면에서 시작되는 감정, 즉 불편함을 느끼며 시작됩니다. 인간은 언제나 불편한 감정 상태를 피하려고 합니다. 생리학적으로도 설명을 해볼까요? 날씨가 더우면 시원한 실내로 들어오거나 추우면 두꺼운 옷을 입습니다. 배고픈 상태가 불편해 음식을 먹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행동들을 ‘항상성 (homeostasis) 반응’ 이라고 합니다. 외로울 때 소셜 미디어에 접속하고 지루할 땐 게임을 하거나 유튜브를 봅니다. 이러한 모든 행동들은 불편함에서 시작됩니다. 따라서 불편함에서 벗어나려는 인간의 행동이 바로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방해요소는 어떻게 극복하는가?
그렇다면 쉽게 산만해지지 않고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인간은 자극이 없으면 살아가지 못합니다. 본능적으로 지루함을 느끼고 새로운 행동을 찾기 때문이죠. 삶을 개선하는 이유 그리고 인류가 끊임없이 발전하는 이유가 바로 더 나은 것들을 찾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욕심을 줄이거나 억지로 자제하는 것이 아닌 내면의 신호를 올바르게 연결한다면 방해되는 쪽이 아닌 도움이 되는 쪽으로 행동할 수 있게됩니다. 뇌는 불편함을 느끼면 달랠 수 있는 무언가를 찾게되고 이 행동이 인간의 습관을 형성하게 됩니다.
방해되는 모든 것들을 이겨내고 싶다면 그리고 실천하고 싶다면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불편함을 주는 것을 없애 버리는 것. 둘째, 불편함을 대처할 전략이 필요합니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감정에 반응하는 방식을 바꾸는 겁니다. 흔히 잘못 알고 있는 방법인 행동을 자제하는 것은 중독성이 강한 행동에 대해 종종 역효과를 불러옵니다. 흡연, 다이어트, 전자기기 등 많은 방해요소는 단순한 절제로 극복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이 절제를 하지 못할 때 느끼는 불편함에서 벗어나는 감정이 즐거움을 선사하기 때문에 무작정 자제하는 것 보단 ‘10분 법칙’을 활용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자제하고 싶어하는 일이 핸드폰 게임이라면 10분동안 참으며 오늘 해야할 일이 있는지 생각해보고 해야할 일을 끝내고 나서의 감정과 기분을 상상합니다. 심리학적 용어로 이것을 충동 서핑이라고 하는데 감정은 파도와 같아 도드라지고 가라앉습니다. 타이머를 10분으로 설정한 후 핸드폰을 내려놓고 그 감각과 감정에 대해 돌아보며 내면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분명 충동들이 사라질 것이고 간단하지만 강력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처음엔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만의 규칙을 정하여 매일 한 번씩 실천한다면 방해받지 않는 자신을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
상담 문의 - https://yeon.us/chat
웹페이지 - https://yeon.us
Yeon Education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맞춤형 미국 대학입시 및 커리어 코칭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교육 연구소 입니다.
pf.kakao.com